미국주식을 투자하는데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가 공포 지수를 참고해서 투자하는 방법도 좋습니다.
분위기에 휩쓸리지 않고 객관적인 지표를 통해 매수 시점을 정할 수 있는데요, 미국주식 공포탐욕지수 보는법, 계산법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1.미국주식 공포탐욕지수 보는법
사실 보는 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아래 CNN에서 발표하는 지수를 보면 되는데요, 1점 ~ 100점으로 측정되며 총 5단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https://edition.cnn.com/markets/fear-and-greed
점수 범위 | 단계 | 설명 |
0 ~ 24 | 극심한 공포 (Extreme Fear) | 투자자들이 두려워 하는 상태, 과매도 상태 |
25 ~ 44 | 공포 (Fear) | 매도 분위기가 높은 상태 |
45 ~ 54 | 중립 (Neutral) | 시장이 안정적인 상태. |
55 ~ 75 | 탐욕 (Greed) | 투자자들이 낙관적인 상태 |
76 ~ 100 | 극심한 탐욕 (Extreme Greed) | 투자자들이 지나치게 낙관적이여서 탐욕이 가득한 상태 |
실제 아래 공포 지수는 2025년 2월 28일 기준인데요, 저닐 미국 S&P 500 지수가 -1.6%, 나스닥 지수가 – 2.78% 하락한 날입니다.
즉 시장에 공포가 가득한 날이고, 우리나라 개인 투자자들 사이에서도 현금 비중을 최대로 확보한 워렌버핏이 옳았다는 내용이 한창 떠도는 시기였습니다.

더해서 아래 그래프는 1년 동안에 공포지수인데요, 공통적으로 공포지수가 높았던 날에는 미국 주식이 -1% 이상 크게 하락한 경우가 많습니다.
지금까지 역사적으로 보면 공포지수가 높을 때 미국 주식을 매수하면 장기적으로 수익이 발생한 것은 사실입니다.
즉 주식을 매수할지, 매도 할지 시점을 판단하는 객관적인 지표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사실 개미 투자자분들은 주식을 언제 팔아야 할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많은데요, GREED, EXTREME GREED 지수에서 팔면 최소한 손해는 보지 않는 투자를 할 수 있습니다.
2.공포탐욕지수 계산법
미국주식 공포탐욕지수는 총 7개의 근거를 통해 계산되는데요, 개인이 직접 계산하기에는 솔직히 어렵습니다.
다만 어떻게 계산되는지 근거 자료가 어떻게 나오는지에 대한 정보는 알고 계시면 좋습니다.
1)시장모멘텀

주식시장의 전체적은 흐름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S&P500 지수의 현재 주가를 125일 이동평균선과 비교하는 지표인데요,
현재 가격이 평균보다 높으면 탐욕, 낮으면 시장이 안좋은 공포를 의미합니다.
2) 주가강도

전체 주식시장에서 얼마나 많은 주식을이 잘 나가는지 보는 지표입니다.
1년이내 가장 높은 가격을 기록한 주식과, 가장 낮은 가격은 기록한 주식의 개수를 비교하는 방법인데요,
높은 가격을 기록한 주식이 많으면 당연히 시장이 탐욕 상태이고, 낮은 가격을 기록한 주식이 많으면 공포상태를 의미합니다.
3) 주가 폭

다양한 주식들의 거래량을 전체적으로 살펴보는 지표입니다.
가격이 오르는 주식과 내려가는 주식의 거래량을 비교하는 지표로,
오르는 주식의 거래량이 많으면 탐욕을, 내려가는 주식의 거래량이 많으면 공포를 의미합니다.
4)풋옵션, 콜옵션

투자자들이 미래 주식 가격이 오를지, 내릴지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주식 가격이 내릴 것에 배팅하는 풋옵션과, 오를 것에 배팅하는 콜옵션의 거래량을 비교하여 풋옵션 거래량이 많으면 공포, 콜옵션 거래량이 많으면 탐욕을 의미합니다.
5) VIX 지수

시장 변동성을 의미하는 VIX 지수를 활용하는 것으로, VIX지수가 50일 평균치보다 높다면 공포, 낮다면 탐욕을 의미합니다.
6) 주식, 채권 수익률 비교

비교적 안전자산이라 불리는 채권과, 위험자산이라 평가되는 주식의 수익률을 비교합니다.
주식의 수익률이 높다면 탐욕, 채권 투자 수익률이 높아진다면 공포를 의미합니다.
7)정크본드 수요

안전자산인 채권과, 위험자산인 정크본드의 수익률을 비교합니다.
채권과 정크본드의 수익률 차이가 작다면 위험을 감수하고자 하기 때문에 탐욕을 의미하구요, 차이가 크다면 안전을 추구하기 때문에 공포를 의미합니다.
지금까지 미국주식 공포탐욕지수 보는법, 계산법을 알아봤습니다.
중요한 것은 남들이 욕심을 부릴 때 매수를 자제하고, 남들이 두려움에 떨고 있을 때 근거를 가지고 매수하는 용기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