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는 중국을 이어 세계의 공장이라고 불릴 만큼 전 세계의 많은 대기업들의 공장이 있습니다. 특히 애플, 벤츠, 삼성전자등 굵직한 기업들이 투자를 하고 있는 지역이기도 합니다.
이렇게 빠르게 성장하는 인도 ETF 레버리지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1.인도 ETF 레버리지 2종
국내에 상장된 인도 ETF 레버리지는 2종류입니다. 두 ETF 모두 인도의 대표 지수인 Nifty 50의 일간 수익률 2배를 추종합니다.
Nifty 50 지수는 인도 NSE(National Stock Exchange)에 상장된 상위 50개 우량주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솔직히 인도 주식 개별 종목에 대해서 투자하는 것은 약간 리스크가 있습니다.
인도 정부에서 세금이나 규제를 갑자기 변경할 수도 있고, 미국이나 우리나라에 비해 아직 투명하게 재무 정책이나 주식 거래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니프티 50지수는 그래도 인도 상위 50개 기업에 분산 투자하기 때문에 리스크가 확실히 줄어든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저 역시 2024년부터 자산의 5% 정도를 니프티 50에 투자하고 있는 이유 있습니다.
종목명 | 순자산 | 상장일 | 실비용 | 거래량 |
TIGER 인도니프티50레버리지(합성) | 554억 원 | 2016.05.13 | 0.69% | 5,458주 |
KODEX 인도Nifty50레버리지(합성) | 327억 원 | 2023.04.21 | 0.46% | 20,000주 |
레버리지 상품은 TIGER와 KODEX의 상품인데요, 순자산은 둘다 600억원 미만으로 크지 않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레버리지는 미국주식으로 투자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뒤늦게 상장한 KODEX 상품이 더 저렴합니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미국 ETF 대부분 후발 주자가 시장 점유율을 빼앗기 위해 비용을 더 낮은 수준으로 유지 합니다.
저와 같은 투자자분들은 계속 한가지 ETF만 고집할 필요 없이 새로운 ETF가 나오면 매매수수료와 비교해서 갈아타는 것도 고려해야 합니다.
1) 수익률 차이
사실 둘 중 어떤 종목을 선택할지는 수익률이 가장 중요하겟죠? 사실 두 ETF 모두 같은 니프티50지수를 추종하기 때문에 수익률 비교는 거의 무의미 합니다.
다만 아래와 같이 1년 수익률응 비교하면 KODEX는 0.91%, TIGER는 0.41%로 살짝 차이가 나는데요, ETF 마다 추적 오차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최근 1년간 수익률이 1%가 안된다는 것을 보고 놀랄 수 있는데요, 사실 인도의 PER은 꽤 높은 편입니다.
미국에 비교할 것은 아니지만 글로벌 주요국 대비 높은 편에 속하구요, 특히 2024년에는 PER이 25로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다만 2024년 하반기에는 기업실적부진, 고평가 논란, 트럼프 당선으로 인한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으로 주가가 크게 조정을 받았습니다.
그렇다고 해도 인도니프티 50지수는 1999년 상장 후 현재까지 수익률이 무려 2,431%입니다. 꾸준히 우상향 해왔습니다.
지수 | PER (2025년 기준) | 특징 |
코스피 | 14.01 | 글로벌 대비 저평가된 수준 |
S&P 500 | 30 | 기술주 중심의 고평가, 미래 성장 기대 반영 |
니프티 50 | 20.3 | 인도 경제 성장 기대 반영 |
2) 배당수익률
아쉽게도 두 ETF 모두 배당은 제공되지 않습니다. 인도의 주식시장은 아직 신흥시장에 속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매출과 영업이익을 당성하는 기업은, 미국이나 우리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인도 시장에 투자하는 분들중에 배당을 기대하는 분들은 많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인도의 경제 성장률, 땅 크기, 인구 성장률과 같이 미래 성장에 투자하시는 분들이 많기 때문에 배당에는 크게 신경을 안쓰실거라고 생각합니다.
2. 인도 ETF 레버리지 추천
만약 둘중 하나만 선택한다면 저는 KODEX 인도Nifty50레버리지(합성)를 추천드립니다.
순자산은 두 ETF가 유의미하게 크지 않습니다. 다만 거래량이 압도적으로 높은데요, 아마 운용수수료가 저렴한 것이 한몫 한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두 개중 더 싸게 굴릴 수 있는 것, 쉽게 사고 팔 수 있는 건 KODEX의 상품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인도 ETF에 계속 관심을 가지고 있지만, 2025년 2월 현재 투자는 하고 있지 않습니다. 다만 최근에 조정이 왔기 때문에 인도에 투자하고 싶으신 분들이라면 지금도 괜찮은 타이밍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5년 이상 길게 보고 투자하셔야 하는 것은 잊지 마시길 바랍니다.
SPY 레버리지 ETF 3가지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