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시장은 앞으로 꾸준히 성장할 수 밖에 없는 산업입니다. AI, 전기자동차 등등 앞으로 성장하는 산업에 필수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개인적으로 추천하는 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나스닥 구성종목, 수수료, 분배금을 정리해보겠습니다.

1. 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나스닥 구성종목
나스닥을 포함한 미국 주식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반도체 섹터의 기업들 상위 30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대표적인 기업들은 브로드컴, 엔비디아, AMD, ASML등이 있는데요, 모두 주식시장에서 꽤 유명하고 튼튼한 기업입니다.

연 4회 (3,6,9,12월) 알아서 구성종목이 변경되기 때문에 리밸런싱 할 필요가 없어서 정말 편합니다
종목명 | 비중 |
AVGO (브로드컴) | 13.94% |
NVDA (엔비디아) | 11.25% |
AMD (어드밴스드 마이크로 디바이시스) | 6.24% |
KLAC (KLA) | 4.52% |
ASML (ASML 홀딩 ADR) | 4.33% |
LRCX (램 리서치) | 4.32% |
MRVL (마벨 테크놀로지 그룹) | 4.27% |
TSM (타이완 반도체 매뉴팩처링 ADR) | 4.18% |
QCOM (퀄컴) | 4.16% |
AMAT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 4.04% |
INTC (인텔) | 3.84% |
MU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 3.74% |
ADI (애널로그 디바이시스) | 3.67% |
NXPI (NXP 세미콘덕터) | 3.66% |
TXN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 3.44% |
- 브로드컴 : 비중이 약 14%로 가장 높은 회사로, 통신이나 네크워크에 들어가는 반도체 칩 생산
- 엔비디아 : 컴퓨터 그래픽 카드로 유명한데 최근에는 AI 반도체 분야에서 유명함
- AMD : 컴퓨터 두뇌 역할을 CPU와 그래픽카드인 GPU를 만드는 회사
- KLA : 생소한 기업인데요, 반도체 검사 장비를 만드는 회사입니다
- ASML : 반도체 제조 장비를 만드는 회사로 이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기술력을 자랑함.
전체 구성종목은 아래 공식 상품 홈페이지를 참고 바랍니다.
https://www.tigeretf.com/ko/product/search/detail/index.do?ksdFund=KR7381180009
2. 수수료
총보수는 0.49%, 실비용은 0.73%로 사실 다른 미국 반도체 관련 ETF들과 비교 했을때 0.03 ~ 0.04%정도 높긴합니다.
다만 이 종목처럼 미국 반도체 시장 주식을 골고루 담아 놓은 ETF가 없는데요, 반도체 제작 기계, 생산, 반도체 검사 장비까지 포괄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가장 비슷하게 다양한 반도체 종목을 포함하고 있는데 것은 KODEX 미국반도체인데요, 26개의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고 실비용도 더 저렴합니다.
TIGER와 KODEX ETF 비교는 맨 아래에서 더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종목 | 순자산 | 발행사명 | 총보수 | 실비용 |
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레버리지(합성) | 2,145억 | 미래에셋자산운용 | 0.58% | 0.80% |
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나스닥 | 25,480억 | 미래에셋자산운용 | 0.49% | 0.73% |
TIGER 미국필라델피아AI반도체나스닥 | 3,856억 | 미래에셋자산운용 | 0.49% | 0.67% |
TIGER 미국AI반도체팹리스 | 167억 | 미래에셋자산운용 | 0.49% | 0.67% |
SOL 미국AI반도체칩메이커 | 270억 | 신한자산운용 | 0.45% | 0.71% |
KODEX 미국반도체 | 4,888억 | 삼성자산운용 | 0.09% | 0.31% |
3. 분배금
배당수익률은 2024년 기준 0.82%, 최근 3년 평균은 0.96%입니다.
반도체는 역사가 오래되긴 했지만 여전히 성장주에 속하는 산업입니다. 따라서 배당이 적을 수 밖에 없습니다.
개인적으로 나이가 아직 40대 초반이시라면 배당ETF 보다는 성장ETF에 투자하셔서 미래에 더 많은 시세차익을 얻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물론 10년 이상 투자한다는 것을 전재로 합니다. ETF가 분산투자라고 하지만 주식시장 전체가 하락하면 ETF도 하락하게 되어있습니다.

4. 주가 전망
해당 ETF는 반도체계의 롤러코스터라고 생각합니다.
이유는 우선 해당 ETF가 최근에 핫한 회사인 엔비디아, AMD, 퀄컴가 같은 주요 종목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인데요, 최근에 실적이 매우 좋습니다.
덕분에 최근 1년 수익률은 21%, 3년 수익률은 74%인데 S&P 연간 평균 수익률 8%와 비교해보면 상당히 높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앞으로 AI 기술이 계속 발전하면서 반도체 회사들의 실적은 감소와 증가를 반복하면서 크게는 실적이 더 좋아질 것으로 생각합니다.

다만 이 ETF의 주가는 단기적으로 크게 오른 경향이 있습니다. 반도체는 특히 사이클 산업이기 때문에 오르는 폭이 크면, 결국 크게 떨어지게 되어있습니다.
물론 다양한 종목에 분산 투자 하기 때문에 단일 종목에 비해서 변동폭이 적은 것은 사실입니다.
따라서 한번에 올인 투자를 하기 보다는 매달 적립식으로 매수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5. KODEX 미국반도체 비교
앞서 말씀드렸던 KODEX의 반도체 ETF와 비교해보겠습니다.
사실 수익률과 실비용만 보면 KODEX의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아보입니다.
배당률이 0.3%정도 낮긴 하지만 3년 수익률이 50% 이상 차이가 나고, 실비용도 거의 절반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선택하는데 있어서 구성종목을 꼭 참고해야 합니다.
지표 | 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나스닥 | KODEX 미국반도체 |
순자산 | 25,466억원 | 4,892억원 |
연간 배당률 | 0.87% | 0.55% |
총보수 | 0.49% | 0.09% |
실비용 | 0.73% | 0.31% |
1년 수익률 | 21.75% | 34.82% |
3년 수익률 | 73.62% | 126.94% |
KODEX 미국반도체가 상승률이 더 높은 이유는 2가지 입니다.
- 높은 엔비디아 비중
- 높은 상위 5개 종목 비중
순위 | 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나스닥 | 비중 | KODEX 미국반도체 | 비중 |
1 | AVGO (브로드컴) | 14% | NVDA (엔비디아) | 18.60% |
2 | NVDA (엔비디아) | 11.3% | TSM (TSMC) | 12.70% |
3 | AMD | 6.3% | AVGO (브로드컴) | 9.9% |
4 | KLA | 4.5% | ASML | 5.3% |
5 | ASML | 4.3% | QUALCOMM | 4.7% |
최근 엔비디아 주가가 핫하잖아요? 비중이 높은 만큼 해당 ETF 역시 주가 수익률이 많이 높아졌습니다.
다만 엔비디아가 앞으로 계속 상승할 수 있을지는 누구도 모릅니다.
두번째로 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나스닥 구성종목 상위 5개 종목의 비중 합게는 40%, KODEX 는 51%입니다.
반도체 시장이 상승장일때는 상위 종목에 집중투자하는 상품의 수익률이 더 높아지게 됩니다.
확실히 아래 수익률 비교 그래프를 보면 차이가 많이 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만약 저에게 1가지 상품만 투자하라고 한다면 TIGER ETF를 투자하겠습니다.
실비용의 경우 배당수익률이 더 높기 때문에 어느 정도 커버가 가능하고, 좀 더 다양한 기업들에 분산투자 되어있기 떄문에 안정적인 것을 선호하기 때문입니다.
이만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도움이 되었다면 아래 ISA계좌 투자글도 참고 바랍니다.